해부학
    
    - 
                소족지는 정적 및 동적 요소에 의해 정렬 및 안정석을 유지
                
- 
                정적 안정물
                -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족저부에 부착 이들 관절의 과신전을 막아준다.
- 족장판, 족저근막, 관절막 및 측부인대
 
- 
                동적 안정물
                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/단 족지 신전근, 장/단 족지 굴근, 7개의 골간근(interosseous m.), 4개의 충양근(lumbricals m.), 소지 외전근(AdDM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/단 족지 신전근, 장/단 족지 굴근, 7개의 골간근(interosseous m.), 4개의 충양근(lumbricals m.), 소지 외전근(AdDM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외재근
    
    - 
                장족지 신건(EDL)
                - 중위 지골과 원위 지골에 부착하기전 근위 지골 부위에 신전덮개(extensor hood)를 만든다
- 장족지 신건의 신전력은 중족-족지 관절 (MTP joint)이 중립위나 굴곡위 상태이거나 내재근이 근위 지골을 잡고 있을 때 정상 작동
 
- 
                장족지 굴건(FDL)
                - 중족-족지 관절에서 단 족지 굴건 사이로 들어가 원위 지골에 부착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근위 지간 관절(PIP joint)에는 강력한 굴곡력 발휘하나 중족-족지 관절 (MTP joint)에는 약한 굴곡력을 가진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
        내재근
    
    - 
                4개의 충양근
                - 중족-족지 관절 부위 (MTP joint)에서 족장판과 신건 덮개의 내측에 부착
- 중족-족지 관절의 강력한 굴곡근으로 작용 하나 관절이 신전 상태에서는 굴곡 능력이 감소
 
- 
                3개의 족저 골간근
                - 횡 중족 인대를 지나 중족-족지 관절의 회전축 밑으로 지나간다
-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소 약한 굴곡 근의 역할을 하나 중족 족지 관절이 (MTP joint) 신전 상태가 되면 회전축보다 위로 이동하여 신전근 역할을 한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
        관절 주위에서의 굴곡 및 신전력
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
    
     
        - 
                원위 지간 관절(DIP joint)
                - 장 족지 굴근은 강력한 굴곡력을 가지나 장족지 신근은 약한 신전력을 가진다
- 내재근이 근위 지골에 부착하여 신전력을 더해주면 평형유지
 
- 
                근위 지간 관절 (PIP joint)
                - 단 족지 굴근이 장 족지 굴근 보다 강한 굴곡근으로 작용
- 장족지 신근의 힘이 다소 약해 내재근의 도움을 받아 평행 유지
 
- 
                중족 족지 관절(MTP joint)
                - 장/ 단족지 굴건이 근위 지골에 부착 X => 장 족지 신근에 비해 약한 굴곡력
- 내재근이 회전축보다 아래로 지나가기 때문에 신근에 저항하는 굴곡근 역할
- 관절이 신전위가 될수록 내재근의 굴곡력은 감소 골간근의 위치가 회전축보다 위로 이동 시 신근으로 작용
 
- 
                작은 족지의 질환은 족부의 가장 흔한 질환중 하나이며, 천천히 진행 나이가 들면서 발생
                
- 
                원인
                - 염증성 관절염
- 외상
- 선청성 기형
- 신경 근육성 질환
- 굽이 높고 족지 공간(toe box)이 좁은 신발이 관련
 
- 
                제 2중족골이 긴경우
                - 족근 중족 관절이 비정상적이고 반복적인 부하를 받음
- 족장판(plantar plate), 측부인대에 변화 초래
 
- 
                작은 족지 변형의 특징
                - 추족지
- 망치 족지
- 갈퀴족지
- 중족 족지 간 관절(MTP joint)의 불안정성
- 피부 못(corn)
 
 
				 
			 
					 
						 
						 
						